얼마 전에 대머리 관련 글을 짧게 적었습니다. 전 글에서는, 인공지능이 축구공과 대머리를 구분하지 못하고 열심히 보조 심판의 번쩍거리는 광채를 보여주었던 한 축구경기에 대해서 다룬 글이였죠.
위의 예처럼, 정말 대머리는 별의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머의 대상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에 있는 대머리를 놀리는 글들을 보다가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머리 또는 탈모인으로써의 이득은 무엇이 있을까?
우선, 많은 사회적인 이득도 있다고 몇몇 글들이 주장합니다. 사회관계가 좋아지고, 대머리를 주제로 농담을 할 수 있으며, 남성미를 뽐낼 수 있으며, 다른 탈모인들을 공감할 수 있는 능력 향상 등 여러 가지 근거 없는 주장들을 펼칩니다. (여기)
하지만, 저는 오늘 조금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려고합니다. 과연, 내 인생의 대부분을 대머리로 살면 얼마나 많은 돈을 아낄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으로, 머리에 우리가 쓰는 비용을 계산해보려고 합니다. (진지)
보통 40세에 대머리가 된다라는 가정하에,
40세부터 100세까지의 일반 대한민국 남성이 머리에 쓰는 비용을 계산해봤습니다.
1. 미용실
한 달에 한 번 간다고 가정.
한 번 평균 가격이 1만 5천원(± 3천 원)으로 가정.
1만 5천 원/개월 * (12개월/1년) = 18만 원/년
(18만 원/1년) * 60년 = 1080만 원 (± 210만 원)
한 달에 한 번은 너무 많나요? 혹시 모를 파마 및 염색 가격을 고려하여 대충 1만 5천 원으로 가정해보았습니다.
2. 샴푸와 린스
3달에 한통을 쓰다고 가정. (4번 구매 / 1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참고한 바,
샴푸 한 통 8천 원, 린스 한통 8천 원으로 대충 가정하였음. (±2천 원)
0.8만 원 * 2개 * (4번/1년) * 60년 = 384만 원. (± 96만 원)
3. 물
환경부에 따르면, 5분에서 3분으로 샤워시간을 줄이면 24L의 물을 아낀다고 한다.
그래서, 머리 감는 시간 (샴푸 +린스)를 2분이라 가정.
한국수자원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 수도세는 1L 당 평균적으로. 788원이다. (1세제곱미터당 788원)
그렇다면, 매일 샤워를 한다고 생각해보자.
(24L/일) * (365일/1년) * 60년 *. 788원 = 약 41만 원
(별 차이 없을 것 같아서 오차는 계산 안 했습니다. 대충 ±5만 원 예상합니다)
4. 전기 (헤어드라이기)
보통 200 kWh이상 ~ 400 kWh 이하로 가정에서 사용하므로, 1 kWh당 187.9원으로 하겠습니다. (한국전력)
헤어드라이기가 예상과 달리 꽤나 전기를 많이 먹더라고요. 대충 1700W로 가정하였습니다. (여기서 참조함)
그리고, 한 명이 하루에 5분 정도 사용한다고 가정했습니다. (한국 남자분들은 머리가 기니까)
1700W * (5분/60분/1일) * (30일/1개월) = 4250Wh = 4.25 kWh / 월
187.9원 * (4.25 kWh/1개월) * (12개월/1년) * 60년 = 574974원 ≒ 57만 5천 원 되겠습니다.
(별 차이 없을 것 같아서 오차는 계산 안 했습니다. 대충 ±5만 원 예상합니다.)
5. 추가
추가적으로, 젤 등 헤어 스타일러 용품 및 등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약 1년에 5만 원으로 싸게 가정하겠습니다.
60년이면, 300만 원입니다.
표로 살펴보겠습니다.
물품 | 비용 (단위: 만원) | 오차 비용 (단위: 만원) |
미용실 | 1080 | 210 |
샴푸, 린스 | 384 | 96 |
물 | 41 | 5 |
헤어드라이기 (전기) | 57.5 | 5 |
헤어젤 등 | 300 | 30 |
종합 (Total) | 1862.5 | 347 |
이렇게, "내가 40살에 대머리가 된다면 100살까지 최대 2210만 원 정도를 아낄 수 있다!"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아쉽게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참고함)
그래서, 2020년 11월 5일 원화 가치 기준으로, 1862.5 ± 347만 원을 아낀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생각보다 굉장히 적습니다. 샴푸랑 린스를 안 써서 꽤 많이 돈을 아낄 줄 알았는데... 음.
사회적인 시선이나 탈모를 막으려고 드는 비용 등을 계산하면 대머리가 되면 손해일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대머리가 되면 들어가는 비용을 나중에 시간 되면 한 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미로 한 번 적어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우보이연구소였습니다.
※ 공감과 댓글은 사랑입니다!
※ 더 절약할 수 있는 비용 있으면 알려주세요!!! 계산해서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 많은 가정들이 다소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재미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쓸모있는 글 > Daily Life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휴일수, 대체공휴일 정리! [언제 놀러갈까나...] (8) | 2020.12.06 |
---|---|
과연 귤껍질은 음식물쓰레기인가? (11) | 2020.11.21 |
티스토리 글은 시리즈로 적는 것이 이득인가? (9) | 2020.09.30 |
심부담이 뭐에요? 정상수치는요? (심부담도) (10) | 2020.09.17 |
댓글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