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Plastic (플라스틱)14

코카콜라의 종이병 실험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량 1위 많은 분들이 알다시피, 플라스틱은 분해가 어려운 분자구조로 인해 자연에서 썩지 않으며, 사라지려면 정말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그로 인해서, 자연은 인간이 생산해내는 플라스틱으로 뒤덮이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이제 모든 곳에 있습니다. 심지어 대자연 속의 산에서도 플라스틱이 검출되는 것이 밝혀지기도 했지요. (추천글: 이제는 산성비가 아니라 플라스틱 비라 불러주세요) 이런 플라스틱은 이제 우리에게도 위협이 되고 있지요. 얼마 전에는 미세 플라스틱이 태반 속으로도 들어갈 수 있는 것이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물론, 우리 건강에 미세플라스틱이 악영향을 끼치는지는 확실히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미세 플라스틱도 플라스틱과 같이 우리의 건강에 당연히 안 좋을 것이라고 예측.. 2021. 2. 24.
매일 사용하는 칫솔은 재활용이 안되나요? [콜게이트 Keep] 매일 사용하는 칫솔 우리는 매일 열심히 이빨을 닦습니다. "안 아프다"며 거짓말을 하며 위이잉거리는 드릴을 우리 치아에 들이대는 치과에 가기 싫어서라도 열심히 양치를 해야겠죠. 그리고 아쉽게도, 우리 몸에 상처가 나면 자연스럽게 새 살이 나는 것과 달리 치아는 한 번 잃으면 다시 자라지 않습니다. 그런데 안 쓸수도 없는 것이 치아입니다. 음식을 맛있게 먹고, 소화를 잘 시키려면 열심히 이빨로 씹어줘야 합니다. 그래서 건강한 치아를 위해서 우리는 밥을 먹거나 간식을 먹으면 이빨을 닦습니다. 그렇게 매일 칫솔과 치약을 사용하죠. 하지만 문제는, 칫솔과 치약 용기 모두 다 재활용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칫솔은 왜 재활용이 안되나? 약 1930년대부터 칫솔은 대량생산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2021. 2. 16.
유럽연합은 플라스틱 폐기물 개도국에 수출 금지... 우리나라는? 코로나로 넘쳐나는 플라스틱 플라스틱은 튼튼하고 견고하며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런 강점으로 우리는 플라스틱을 자동차, 노트북, 스마트폰, 안경, 물병 등 많은 물건에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플라스틱의 강점이 우리에게 문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너무나도 오래 쓸 수 있고 튼튼하다는 점이 오히려 썩지 않고 사라지지 않는 점 때문에 플라스틱은 자연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화학물질을 배출함에 따라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관련: 미세플라스틱이 태반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 밝혀지다 [미세 플라스틱 오염 2편] 그렇다고 쉽게 없앨 수 없는 것이 플라스틱입니다. 우리는 현재 코로나 19와의 사투에서도 참으로 많은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생 장갑, 마스크, 비말 방지 가림막, .. 2021. 1. 28.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는데" 미세플라스틱이 태반 속으로 들어갈수 있는 것이 밝혀지다 [미세 플라스틱 오염 2편] "플라스틱은 없어지지 않아요 (미세 플라스틱)"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s)은 보통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크기의 플라스틱을 의미합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치약이나 스크럽제에 사용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만들어졌거나, 제품이 사용되거나 버려진 이후 자연 풍화 등에 의해 조그맣게 미세 플라스틱이 되기도 합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의 생산량이 매해 늘어남에 따라 점점 우리 주위에 많아지고 있습니다. 2010년만 해도 2.7억 톤의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이, 2018년에 이르러서는 거의 3.6억 톤에 달했습니다. 그런데, 총 플라스틱 생산량의 9%만 재활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미 미세 플라스틱은 우리의 주변 모든 곳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바다에 .. 2020. 12. 26.
이제는 산성비가 아니라 플라스틱 비라 불러주세요 [미세플라스틱 오염 1편] 미세 플라스틱이란?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s)은 의도적으로 제조되었거나 또는 기존 제품이 조각나서 미세화된 크기 5mm 이하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정의된다. 미세 플라스틱은... 1차 미세 플라스틱(primary microplastic)과 2차 미세 플라스틱(secondary microplastic)으로 구분된다. 1차 미세 플라스틱은 의도적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알갱이로서 레진 펠렛(resin pellet, 크기 2-5mm의 플라스틱 원료물질), 세안제와 치약에 들어 있는 스크럽제, 공업용 연마제 등이 포함된다. 2차 미세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제품이 사용되는 과정이나 버려진 이후에 인위적인 행위나 자연 풍화에 의해 조각나고 미세화된 플라스틱 파편을 가리킨다." [네이버 지식백과] 미세플.. 2020. 12. 8.
버거킹이 환경에 관심을 가지다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버거킹이 폐기물을 줄이기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내년부터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테스트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2021년부터 도쿄, 뉴욕, 포틀랜드시에서 선택된 3 개의 지점에서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사용하겠다고 하네요. 그 후, 시범 운용을 더 많은 곳에서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재활용가능한 용기는 이렇게 사용됩니다: (1) 고객은 햄버거 및 콜라 등의 메뉴를 재사용 가능한 포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른 소액의 보증금이 부과됩니다) (2)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다시 버거킹 지점으로 반환하면, 고객은 보증금을 환불받으며, 버거킹은 그 용기를 다시 재사용합니다. 아무래도 거대 프랜차이즈인 버거킹의 행동으로, 프랜차이즈 업계에 많은 변화가 생각보다 빠르게 올 것.. 2020. 10. 29.
자연을 위해서 치약을 씹는 것은 어떨까? [고체 치약] 이빨을 닦으려는데 치약이 안 나온다. 그래서 밑에서부터 꾹꾹 누르면서 위로 남은 치약을 쓰려고 안간힘을 썼다. 그렇게 칫솔에 치약을 짜고 나서 이빨을 닦기 시작했다. 이빨을 닦으면서 다 짜낸 치약 튜브를 가지고 쓰레기통으로 갔다. 나는 아무런 생각 없이 치약 튜브를 쓰레기통에 넣었다. -- 어제저녁을 먹은 후.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위의 제 이야기처럼, 많은 치약 튜브는 일반 쓰레기로 들어갑니다. 분리수거를 하려면, 치약 튜브를 잘라서, 물로 다 씻어서 분리수거를 해야겠죠. 하지만, 굉장히 귀찮으며, 세척을 한다고 해도 내부까지 세척하기는 굉장히 어렵다고 하네요. 문제는 보통 저희가 쓰는 치약 튜브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서,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는 경우에 자연에서 굉장히 오랜 시간 동안 분해.. 2020. 10. 23.
우유팩에 우유 대신 물을 넣어보았다. [BOXED WATER IS BETTER]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저는 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많은 사진을 Unsplash에서 가져오곤 합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환경 관련 포스팅을 많이 하면서, 환경 및 플라스틱 사진을 많이 찾는데 계속 나오는 회사가 하나 있더라고요. 특히 플라스틱 관련 영어단어를 검색했을 때 맨날 나옵니다. 이름은, BOXED WATER IS BETTER. 이런 사진들을 계속 보다보니까 뭔가 초록, 초록하니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 같아서 이 회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소개합니다. 물을 플라스틱 말고 종이팩에 담는 기업인, BOXED WATER IS BETTER입니다. 제가 이전 많은 글에서 말했듯이, 플라스틱의 재활용률은 꽤나 낮습니다. 사람들이 열심히 분리수거를 해도 많은 플라스틱이 매립지에 묻히거.. 2020. 10. 21.
플라스틱을 전자렌지에 넣으면 당연히 수소가 나오지 않나요? 플라스틱은 인간 사회를 참으로 편하게 해주었습니다. 싸고, 깨끗하고, 튼튼한 플라스틱은 우리의 삶에 굉장히 빠르게 들어왔죠. 그로 인해, 이제 우리 주변에는 플라스틱이 넘쳐납니다. 제가 치고 있는 키보드도 플라스틱, 마우스도 플라스틱, 자동차도 플라스틱을 쓰며, 물병도 플라스틱을 사용합니다. 다만, 문제는 그저 플라스틱이 생각보다 분해가 잘 안된다는 점이겠죠. 그렇게, 우리 일상 말고도,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주범이 되었습니다. 이런 문제가 대두되며, 몇몇 기업들과 일부는 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촉구하고 새로운 플라스틱 대체제를 만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활용은 잘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대체제라고 부르는 물질도 새롭게 나오더라도 실제로 그렇게 재활용이 쉽지 않죠 (PLA). 그렇다고 해도, 이.. 2020. 10. 20.
플라스틱 분리수거만 잘하면 재활용률이 100%? [정유업계의 거짓말 2편] 오늘의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플라스틱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플라스틱 제조: 1. 플라스틱은 우선 보통 기름이나, 천연가스가 재료가 되며, 보통 에탄과 프로판 가스를 추출해냅니다. 2. 이 에탄, 프로판 가스로 조금 다른 분자 형태를 만들고, 3. 화학약품을 퍼부어서 플라스틱 액체(?)가 대충 만들어지면, 4. 식혀지면서 파이프로 이동, 5. 대충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면, 플라스틱 제조가 완료됩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굉장히 복잡한 과정, 특수 화학약품 등 많은 기술이 들어갔습니다. 플라스틱은 거의 인간의 창조물이라고 할 정도로, 인간이 엄청나게 복잡하게 분자 연결 고리들을 꼬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때문에 분해가 더욱더 안 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여기서 포인트는, 석유에서.. 2020. 10. 8.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서 화장품 병을 만들다 [Eastman / QualiForm]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다들 화장품 사용하시죠? 로션이나, 스킨이나, 토너나, 무엇이든지 화장품을 한국 사람은 꼭 바르는 것 같더라고요. 보통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화장품들이 플라스틱 병으로 되어있다는 것을 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의 재활용은 까다롭고 어렵습니다. 그런데도, 오히려 화장품 업계는 '샘플'을 준다고 하면서 더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화장품 업계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에서 플라스틱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요, 그로 인해 바다에서, 땅에서, 그리고 우리 먹거리, 게다가 대기까지 플라스틱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이 우리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하나둘씩 나오는 시점에서, 플라스틱 환경오염에 대한 걱정이 많아지기 마련입니다. 그.. 2020. 10. 6.
식물로 만든 플라스틱은 분해가 가능...? [PLA / ThyssenKrupp]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다들 알다시피, 플라스틱의 재활용은 까다롭고 어렵습니다. 그런데도, 플라스틱이 쓰이는 곳은 점점 더 많아지고, 생산량도 늘어나고 있지요. 게다가, 코로나 19로 인해서 일회용품 사용의 증가, 의료물품의 생산 증가로 플라스틱은 특히 올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건, 여기에서.) 이로 인해, 바다에서, 땅에서, 그리고 우리 먹거리, 게다가 대기까지 플라스틱이 있다고 하니, 플라스틱이 없는 곳은 없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이 우리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하나둘씩 나오는 시점에서, 플라스틱 환경오염에 대한 걱정이 많아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조금 더 "자연적인" 플라스틱, 조금 더 분해가 가능한 플라스틱인, PLA, P.. 2020.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