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쓸모있는 글49

[개미 주식 노트] LG Display 엘지 디스플레이 주가 전망 주식을 조금 해보기 시작한 지 이제 한 6개월이 조금 넘은 것 같다. 살펴보니 6개월 동안 한 25% 수익이 났다. 삼성전자에만 올인했으면 50% 이상 났겠지만, 아쉽게도 그러지 않았다. 물론, 현재 상승장에서 돈을 안 번 사람이 없을 테니까 이런 수익은 아무것도 아니다. 그래서, 이 글을 안 읽으시겠다면, 그렇게 하시라. 어차피 근거 없는 소리긴 하다. 필자 또는 많은 사람들이 아무래도 주식을 시작하며 질문하는 것은 "무엇을 사야 하나?"일 것이다. 필자는 뭘 사야 할지 몰랐다. 처음 산 주식은 삼성전자, 한국전력, CJ 였는데, 그 이유는 삼성전자는 '음, 파운드리 시장이 클 수밖에 없는 구조지'라며 샀으며, 한국전력은 '전기의 시대가 올 것이다!'라며 샀으며, CJ는 '전에 비해 가격이 낮네'라며 .. 2021. 2. 5.
퀸스 갬빗 시청 기념 디스코드 체스 봇 추가 및 명령어 정리! [Chess]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얼마 전에 퀸스 갬빗을 넷플릭스에서 봤습니다. 일단 1화만 보려고 한 것이, 한 번에 3화까지 보게 되고, 그 다음 순식간에 미니시리즈를 다 보게 되었죠. 저는 여주인공인 안야 테일러 조이의 매력부터 천재의 이야기를 정말 맛깔나게 다룬 이 스토리 라인과 전개에 그저 푹 빠져버리고 말았습니다. (안야 테일러 조이 정말.... 최고!) 그래서, 퀸스 갬빗을 재밌게 본 기념으로 오늘은 디스코드에 체스 봇을 추가하고 친구와 플레이해보려고 합니다. ▼ 체스 봇 초대 우선 이 링크를 들어가서, 오른쪽에 Invite를 눌러줍시다. 그러면, 밑에 왼쪽 사진처럼 초대를 할 서버를 선택, 계속하기를 누르면 오른쪽 사진이 나오면 승인을 눌러줍시다. 초대가 완료되었습니다. 🙃 추천 글: 퀸스.. 2021. 1. 22.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소셜 딜레마, 너무나도 충격적인 사실. The Social Dilemma 왜 미국 사람들은 저럴까? 이번 코로나 19 사태를 보면서 생각했었다: 왜 미국 사람들은 저렇게 바보일까? 마스크도 안 쓰고 다니고, 사회적 거리두기 같은 것은 도대체 볼 수 없다. 그런데 자기만 안 쓰면 차라리 다행이지, 다른 쓰고 있는 사람들한테도 뭐라 하며 난동을 피우며, 시위하고 물건들을 다 부시며 다니고 있다. 몇몇은 코로나 바이러스는 미국 정부가 몰래 무언가를 하려고 퍼트렸다고 주장한다. 게다가 코로나 19로 인해 30만 명 이상이 죽은 상황에서도 방역 실패의 책임자인 트럼프 대통령을 너무나도 좋아한다. 우리나라였음 이미 탄핵되었을 것이다. 특히 트럼프 지지자들 중 대다수가 바이든은 중국과의 엄청난 비리가 있었다고, 바이든은 소아성애자라고 하는 등 말도 안 되는 주장을 실제 팩트라고 믿는다. .. 2021. 1. 20.
넷플릭스 브리저튼, 괜히 재밌다 [Bridgerton] 드라마 시청 3분 만에 섹스신을 보게 되다니. 조금 충격적이었다. 갑자기 섹스신이라니! 게다가 필자는 이어폰도 안 꽂고 방에서 소리 크게 해놓고 보고 있던 중이었다. 아무리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이라도 이렇게 빨리 나올 줄 몰랐다. 그리고, 가족들에게 해명은 어려웠다. 하아... 그래서, 브리저튼과의 시작은 뻘쭘했다. 달콤한 로맨스를 약간 바라며 시청하기 시작했건만, 갑자기 동물(?) 두마리가 열정적으로 하는 모습을 보다니... (물론 좋긴 하더만). 하지만, 오늘로 8편을 다 본 것을 굉장히 잘했다고 생각한다. 코로나 19의 현실에서 벗어나 즐거운 상상의 세계를 경험한 것 같았다. 브리저튼의 스토리 브리저튼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로 줄리아 퀸의 베스트셀러 소설 시리즈가 원작이다. 한 회차당 한시간 정.. 2021. 1. 13.
나만 모른다는 컴퓨터 배경화면 바꾸는 법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요즘 코로나19 확진자가 1000명을 넘어서면서 집에 계속 방콕할 예정입니다. 나가기가 무섭습니다. 하지만, 나가서 붕어빵도 먹고, 스키장도 가고 싶고... 겨울을 즐기고 싶은데, 나가지는 못하니까 겨울 기분이라도 내기 위해서 눈 사진으로 한 번 바꿔보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컴퓨터 배경화면 바꾸는 법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나만 모른다는 간단 컴퓨터 화면 캡처 (캡쳐) and 단축키) 저는 주로 Unsplash를 이용하여 고화질 사진을 다운로드 합니다. 참고하세요~ (홍보 아닙니다) 다운로드한 이 사진을 제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 배경화면 설정 들어가는 법 (1) 바탕화면 페이지에 가셔서, (2) 우클릭을 해줍시다. (3) 우클릭 메뉴 마지막인 개.. 2020. 12. 19.
퀸스 갬빗, 천재가 약물에 중독되기 더 쉬울까? "야, 너 그거 봤어?" 요즘 핫한 넷플릭스의 미니 시리즈, 퀸스 갬빗을 친구가 추천해주었습니다. 처음에는, "체스? 난 그런 것 몰라."라며 안 보려고 했습니다. 이미 하루하루 바쁘게 살고 있는 저에게는 드라마를 볼 여유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친구가 정말 재미있다고, 특히 여주인공이 정말 예쁘다는 말에 솔깃하는 바람에 1화를 보게 되었습니다. 일단 1화만 보려고 한 것이, 한 번에 3화까지 보고 말았습니다. 저는 여주인공인 안야 테일러 조이의 매력부터 천재의 이야기를 정말 맛깔나게 다룬 이 스토리 라인과 전개에 그저 푹 빠져버리고 말았습니다. 이야기를 살짝 말하자면, 고아원에서 우연히 체스를 두던 관리인에 의해 체스를 알게 된 천재 소녀 '베스'의 이야기로, 그녀가 체스 세게 챔피언이 되는 여정을 다.. 2020. 12. 18.
2021년 휴일수, 대체공휴일 정리! [언제 놀러갈까나...] 벌써 2020년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한 것도 없는데 시간은 정말 빨리 지나가네요. 얼마 전에 대구에서 신천지 때문에 코로나 퍼져서 욕하고 있었던 것 같은데... 이야, 벌써 12월입니다. 날씨가 벌써 추워져서 나가지도 못하겠습니다. 그래도, 연말 분위기도 조금 나면서 사람도 만나야겠는데, 코로나 확진자 현재 400, 500, 심지어 600명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어디 나가 지도 못하겠습니다 ㅠㅠ. 우리 모두 연말 모임이나 회식 자제하고, 백신을 기대하면서 내년에 놀 생각에 빠지시라고 2021년 휴일수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상상 여행) 2021년 휴일 우선, 내년 총 휴일(빨간날)은 총 64일이라고 합니다~! 원래 52일의 일요일과, 설날 등 15일의 공휴일이 있었습니다만,, 현충일(6.6), 광복절(.. 2020. 12. 6.
과연 귤껍질은 음식물쓰레기인가?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하루 1만 5천여 톤입니다. 전체 음식물의 1/7 정도가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약 20조 원이 낭비되고 있습니다. (환경부) 참으로 많은 쓰레기 배출량입니다. 그리고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 동물이 먹고 농사하는데 비료로 쓰지 않나?" 아닙니다. 생각보다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률은 낮습니다. 우리나라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이 많아서 자원화 시설로 반입이 되면 80% 내외는 폐수로 배출되어 처리되어서, 실질 재활용률은 약 20~40%가 나온다고 합니다. 게다가, 음식물쓰레기를 사료로 만들려고 하려면, 음식물쓰레기에서 별의별 플라스틱부터 스티로폼까지 '이물질'이 나와서 재활용하기에 비용도 많이 든다고 합니다.. 2020. 11. 21.
탈모인 or 대머리라면 돈을 절약할수 있지 않을까? 얼마 전에 대머리 관련 글을 짧게 적었습니다. 전 글에서는, 인공지능이 축구공과 대머리를 구분하지 못하고 열심히 보조 심판의 번쩍거리는 광채를 보여주었던 한 축구경기에 대해서 다룬 글이였죠. 위의 예처럼, 정말 대머리는 별의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머의 대상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에 있는 대머리를 놀리는 글들을 보다가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머리 또는 탈모인으로써의 이득은 무엇이 있을까? 우선, 많은 사회적인 이득도 있다고 몇몇 글들이 주장합니다. 사회관계가 좋아지고, 대머리를 주제로 농담을 할 수 있으며, 남성미를 뽐낼 수 있으며, 다른 탈모인들을 공감할 수 있는 능력 향상 등 여러 가지 근거 없는 주장들을 펼칩니다. (여기) 하지만, 저는 오늘 조금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려고합.. 2020. 11. 5.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비번도 뚫리는데, 내 비밀번호는 안전할까?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지난주에 현 미국 대통령 도날드 트럼프의 트위터,@realDonaldTrump,를 네덜란드 보안 전문가인 빅터 게버스씨가 5번의 추측만으로 줄었다고 전합니다. 게버스씨가 주장하길, 비밀번호는 "maga2020!"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로그인한 후 그는 미국 국토안보부(Homeland Security)의 사이버 보안 부서인 CISA(Cybersecurity and Infrastructure Security Agency)의 부서인 US-CERT에 이메일을 보내 대통령의 트위터 비밀번호가 곧 변경되었다고 말했답니다. 게버스씨의 말로는, 이메일의 답변은 없었지만, 그 후 이중 인증 절차 등이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에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반면에, 트위터 대변인인 Ian .. 2020. 10. 27.
양파가 야하다는 페이스북, 뚱뚱한 여자는 야하다는 인스타그램? [알고리즘의 미래는] Twitter, Facebook, Instagram, Youtube 등 많은 분들이 인터넷을 거의 매일 사용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현대사회에서 우리와 인터넷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죠. 현재 여러분들도 이 블로그 글을 인터넷을 통해 읽는 것처럼요. 우리가 인터넷을 많이 이용해서 하루에 생기는 정보량만 해도 25억 GB, 또는, 약 20조 비트라는 엄청난 양의 정보량이 만들어집니다. 이런 많은 정보를 가지고 많은 IT회사, 예를 들어 Facebook, Google 등, 은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좀 더 나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 사용자들의 행동을 예측하고,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등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죠. 알고리즘이란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알고리즘(algo.. 2020. 10. 26.
티스토리 글은 시리즈로 적는 것이 이득인가?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티스토리 글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합니다. (비록 이제 한 2개월 되는 신참이지만) 요즘에 제가 글을 시리즈로 적을 것인지 말 것인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시리즈가 나은 것인지, 아니면 한 글에 많은 정보를 담는 것이 나은 것인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명확한 답을 알고 계시는 독자 분 계십니까~?) 그래서, 우선 제가 생각하는 티스토리 시리즈 글의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려고 합니다. ※ 1탄, 2탄, 3탄 이렇게 적는 글들. ▼ 시리즈가 안 좋은 점 우선, 티스토리 블로그의 많은 트래픽은 검색에서 옵니다. 네이버, 다음, 구글, 줌이든, 아님 카카오톡도, 많은 분들이 우리의 블로그를 검색을 통해서 들어오십니다. 그런데, 현재 다음이나 네이버의 검색은.. 2020.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