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의 최대 피해자는 평범한 여성들이다 [Deepfake]
"가장 위험한 인공지능의 범죄, 딥페이크" Deepfake, 딥페이크는 "deep learning" 딥러닝과 "fake" 가짜의 혼성어입니다. 그래서, 딥페이크는 인공 지능을 기반으로 한 인간 이미지의 합성 기술을 보통 뜻합니다. 컴퓨터가 합성 대상의 얼굴을 딥러닝하여 (공부해서), 동영상에 프레임 단위로 합성시키는 방식으로 딥페이크는 작동합니다. 이런 딥페이크로 만들어진 영상은 일반인 눈으로 구별하기 굉장히 어렵습니다. 어떻게 보면, 좋은 기술이라고 말 할수도 있습니다. 딥러닝 기술의 일종으로, 영화계, 광고계 등이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스턴트 배우의 얼굴에다 딥페이크 기술을 도입하면, 쉽게 배우의 얼굴이 자연스럽게 나올 테니까요. 하지만, 기술의 발전에는 항상 어두운 면이 있습니다..
2020. 12. 30.
금연 2.5년차의 금연하는 법
개인적으로 스트레스받을 때 담배가 너무나 피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금연한지 2년 하고 약 6개월이 지났지만, 담배는 종종 생각이 납니다. 다른 사람과 막 싸워서, "아, 진짜 왜 이래... X 같네..."라고 생각할 때나 일이 기한이 얼마나 안 남았을 때 정말 딱 한 대만 피면...이라는 생각은 아직도 많이 납니다. 솔직히 말해서, 시작을 했으면 안 되었습니다. 친구가 멋지게 피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야, 나두' 필래라고 했으면 안 되었습니다. 이후로 담배를 꾸준히 피우게 되고, 전자 담배도 피워보고, 시가, 물담배 등등 펴볼 만한 것은 다 펴봤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금연하지 2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담배는 계속 생각이 나더라고요. 하지만, 담배가 안 좋은 것은 엄연한 사실입니다. 폐암, 식도..
2020. 12. 13.
플라시보의 플라시보 효과를 아시나요? [Placebo]
플라시보 또는 플라세보 효과라고 한 번쯤 다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란, 의사가 효과가 없는 가짜 약을 환자에게 투약 또는 제안했는데, 환자의 긍정적인 믿음으로 인해 병세가 호전되는 현상입니다. 그리고 보통 신약 연구를 할 때는, 이런 '플라시보' 또는 가짜약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플라시보를 투약한 집단과, 신약을 투약한 집단의 상대적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그냥 아무것도 아닌 평범한 가짜 약을 투여한 집단이 실제로 나아지는 경우가 있어서, 플라시보 효과는 종종 연구에 혼란을 주기도 합니다. 어떤 2014년 연구에서는 플라시보 효과를 연구했는데, 플라시보 효과로 실제 약의 약 50% 효능을 보인다고 말합니다. 정말 신기하고도, 이상합니다. 하지만, 물론 이런 플라시..
2020. 12. 10.
'호랑이 대마초 피던 시절', 우리나라와 대마초의 역사
"호랑이가 담배 피던 시절"이라고 들으면, 뭔가 굉장히 오래 전부터 담배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 담배가 들어온지는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1618년 광해군 때 일본에서 담배를 들여왔다는 기록이 제일 빠른 기록으로 남아있습니다. 담배와 달리, 대마초는 중앙아시아 원산으로 고대시대부터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 유럽, 인도에 분포했습니다. 주로 섬유를 얻기 위해 대마를 재배하였으며, 많은 분들이 아시는 고려 말 문익점씨가 목화를 중국에서 몰래 붓에 숨겨서 들여오기 전만해도, 대마로 만든 삼베옷을 입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명품 안동포", 우리나라에서 삼베옷을 만들기 위해서 열심히 대마를 키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글의 제목을 호랑이가 담배가 아닌, 대마초 피던 ..
2020. 12. 1.
낙태법 개정안, 해외의 낙태법과 함께 살펴보자
안녕하세요, 카우보이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좀 논란이 많은 이슈, 낙태법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2019년 4월 형법상 낙태죄에 대한 헌법 재판소의 헌법 불합치 결정 이후, 정부가 법무부, 복지부 등 관계 부처들, 그리고 의료계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낙태법 개정안을 내놓았습니다. 그 직후, 찬반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쪽은, 여성의 인권을 다 고려하지 않은 개정안이라며 낙태법의 완전 폐지를, 다른 한쪽은 태아의 생명권을 고려하지 않은 살인 정부라고 욕을 하며 반대합니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관심이 없었습니다. 세계적으로 낙태가 굉장히 큰 이슈라는 것만 알지, 어느 한 쪽의 주장과 근거가 무엇인가, 맞는가 말할 수가 없었습니다. 오늘, 제 무관심을 반성하는 차원에서, 우리나라의 낙태 법 개정안과 성 ..
2020. 11. 23.
소리만 들어서 남의 손동작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
인간은 사회적 동물입니다. 어딜 가든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려고 하고, 어느 집단에 소속되고 싶어 하죠. 이는 원시시대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사람들끼리 뭉쳐서 같이 사냥을 하였으며, 마을을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만든 마을이 점점 커지더니, 왕국이 건설되었죠. 위대한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황하 문명 등이 탄생합니다. 비록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지만, 많이 모여있으면 갈등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면 모일수록, 평화로운 사회를 위해서는 원활한 소통은 필수 요소였습니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을 확실하게 말하지 못하거나, 또는 상대방이 말하는 것을 확실히 알지 못했더라면, 인간 사회는 이렇게 발전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래서, 인간들은 같이 살기 위해서 몇몇 본능이 있습니다. 나와 ..
2020. 11. 17.